** LLM deepseek-v3-0324 답변사항입니다. 정보가 틀릴수 있으니 주의부탁드립니다.
MAXIMUM_WAIT_OBJECTS_EXCEEDED (0x0000000C) 블루스크린 오류 분석 및 해결 방법
이 오류는 시스템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대기 객체(Wait Objects)의 최대 한계를 초과했을 때 발생합니다. Windows 커널은 프로세스 간 동기화를 위해 대기 객체(예: 이벤트, 세마포어, 뮤텍스)를 관리하는데, 시스템이 이를 과도하게 생성하거나 해제하지 않아 누적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. 주요 원인
(1) 드라이버 문제 (가장 흔함)
- 커널 모드 드라이버(특히 네트워크/저장 장치 관련)가 대기 객체를 적절하게 해제하지 못함
- 오래된 또는 호환되지 않는 드라이버 사용
(2) 멀티스레드 애플리케이션 충돌
- 개발 잘못된 소프트웨어가 무한히 대기 객체를 생성 (예: DB 서버,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)
- 게임/크리에이티브 프로그램에서 스레드 관리 오류
(3) 메모리 누수
- 시스템 리소스 부족으로 인한 커널 힙(Kernel Heap) 오버플로우
(4) 악성코드 감염
- 루트킷이 커널 리소스를 고의로 소모시키는 경우
2. 해결 방법 (단계별)
(1) 덤프 파일 분석
WinDbg를 실행한 후 !analyze -v 명령어로 크래시 원인 확인
lmtn (모든 로드된 모듈 확인) → 문제의 드라이버/프로세스 특정
(2) 최근 변경 사항 롤백
- 장치 관리자(devmgmt.msc)에서 최근 업데이트된 드라이버 롤백
- 프로그램 제거(appwiz.cpl)에서 최근 설치한 소프트웨어 삭제
(3) 드라이버 업데이트/재설치
- 중점 점검 대상:
- 네트워크 드라이버(이더넷/Wi-Fi)
- 저장 장치 드라이버(SATA/AHCI/NVMe)
- 가상화 소프트웨어(VirtualBox, VMware 등)
(4) 안전 모드 진입 테스트
- Shift + 재시작 → 문제 해결 → 고급 옵션
- 안전 모드에서 오류 재현되지 않으면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문제 확신
(5) 시스템 파일 검사
sfc /scannow
dism /online /cleanup-image /restorehealth
chkdsk C: /f /r (재부팅 필요)
(6) 메모리 및 하드웨어 진단
- Windows 메모리 진단(mdsched.exe) 실행
- SSD/HDD 제조사 도구로 배드 섹터 검사
(7) 고급 문제 해결
- 커널 메모리 덤프 분석:
- PoolMon 도구로 커널 풀 사용량 모니터링
- !poolused 명령어로 누수 의심 풀 태그 확인
(8) 윈도우 재설치
- 모든 방법 실패 시 클린 설치 고려
3. 예방 조치
✔ 주기적인 드라이버 업데이트 (자동 업데이트 비활성화 권장)
✔ 리소스 모니터링(perfmon.exe)으로 메모리 사용 추적
✔ 개발 시 스레드/동기화 객체 관리 주의
4. 참고 사항
⚠️ 이 오류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/드라이버 문제이나, 메모리 고장 시에도 유사 증상 발생
⚠️ 서버 환경에서는 반드시 풀 모니터링 도구 사용 권장
문제 지속 시 Microsoft 지원 또는 해당 하드웨어 제조사에 문의하세요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광고(Advertising)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