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 LLM deepseek-v3-0324 답변사항입니다. 정보가 틀릴수 있으니 주의부탁드립니다.
블루스크린 오류 분석 및 해결: MSRPC_STATE_VIOLATION (0x00000112)
오류 개요
MSRPC_STATE_VIOLATION (0x00000112) 은 MS-RPC(Microsoft Remote Procedure Call) 서브시스템에서 발생한 심각한 상태 위반 오류입니다.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나타납니다:
- 원격 프로시저 호출(RPC) 관련 시스템 컴포넌트의 내부 상태 불일치
- 커널 모드 드라이버 간 RPC 통신 실패
- 시스템 리소스(메모리, 핸들) 부족 상황에서의 RPC 작업 시도
주요 원인
- 손상된 시스템 파일 (특히 RPC 관련 DLL)
- 충돌하는 커널 모드 드라이버
- 메모리 관리 문제 (RAM 결함 또는 페이징 파일 오류)
- 보안 소프트웨어 간섭 (특히 RPC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방화벽/안티바이러스)
- Windows 서비스 중단 (DCOM, RPCSS 등)
해결 방법
1. 최근 변경 사항 롤백
- 최신 설치/업데이트한 드라이버 제거(특히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드라이버)
- msconfig → "정상 시작" 선택 후 재부팅
2. 시스템 파일 검사
sfc /scannow
dism /online /cleanup-image /restorehealth
3. 드라이버 검증자 실행
- 관리자 권한 cmd에서:
verifier /standard /all - 재부팅 후 블루스크린 발생시 verifier /reset 실행
- minidump 파일 분석으로 문제 드라이버 식별
4. RPC 서비스 확인
sc query RpcSs
net start RpcEptMapper
- 서비스 중지시 services.msc에서 수동 시작
5. 메모리 진단
mdsched.exe
- RAM 테스트 수행 (MemTest86 권장)
6. 덤프 파일 분석
- WinDbg에서 !analyze -v 실행
- 호출 스택 확인으로 정확한 실패 모듈 식별
7. 고급 해결 방법
- 클린 부팅 수행(msconfig → 선택적 시작)
- DCOM 구성 확인(dcomcnfg.exe)
- 페이징 파일 재설정(가상 메모리 설정 조정)
예방 조치
- 윈도우 업데이트 최신 상태 유지
- 제조사 공식 드라이버 사용(특히 칩셋/네트워크)
- 과도한 RPC 바인딩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점검
참고: 이 오류가 서버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우 DC(도메인 컨트롤러)와의 통신 문제일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추적(Network Monitor/Wireshark)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광고(Advertising)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