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 LLM deepseek-v3-0324 답변사항입니다. 정보가 틀릴수 있으니 주의부탁드립니다.
DRIVER_PORTION_MUST_BE_NONPAGED (0x000000D3) 블루스크린 분석 및 해결 방법
이 오류는 페이징 불가능한(Nonpaged) 메모리 영역에 있어야 할 드라이버 코드/데이터가 잘못 위치했을 때 발생합니다.
주로 드라이버 설계 오류, 메모리 손상, 또는 커널 모드 코드의 잘못된 접근이 원인입니다.
1. 주요 원인
✅ 버그 있는 드라이버: 페이징 가능한 메모리에 할당된 코드가 커널 모드에서 실행됨.
✅ 메모리 관리 문제: RAM 또는 페이징 파일 손상.
✅ 악성 코드/루트킷: 시스템 드라이버를 변조하여 비정상적인 메모리 접근.
✅ 하드웨어 결함: RAM, CPU 캐시 오류 또는 불안정한 전원 공급.
2. 단계별 해결 방법
(1) 안전 모드 진입 및 문제 격리
- 안전 모드(Shift + 재시작 → 문제 해결 → 고급 옵션)로 부팅 후 블루스크린 재현 여부 확인.
- 안전 모드에서 정상: 일반 모드의 드라이버/소프트웨어 충돌.
- 안전 모드에서도 오류: 하드웨어 또는 Windows 커널 손상 가능성.
(2) 최근 변경 사항 되돌리기
- 장치 관리자(Win + X) → 최근 업데이트된 드라이버 롤백 또는 제거.
- 제어판 > 프로그램 추가/제거에서 최근 설치한 보안 소프트웨어, 가상 머신 도구 등 제거.
(3) 블루스크린 덤프 분석
- 도구: WinDbg 또는 BlueScreenView. WinDbg 명령어: !analyze -v (덤프 파일 로드 후 실행)
- 주의할 항목:
- FAILURE_BUCKET_ID (실패 유형).
- MODULE_NAME 및 IMAGE_NAME (문제의 드라이버 파일 .sys).
(4) 시스템 파일 검증 및 메모리 진단
- 시스템 파일 검사:
sfc /scannow
dism /online /cleanup-image /restorehealth - RAM 검사: mdsched.exe (재부팅 후 자동 실행)
- 디스크 오류 검사: chkdsk C: /f /r (재부팅 필요)
(5) 드라이버 검증 도구(Driver Verifier) 실행
- 주의: 이 도구는 시스템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, 안전 모드에서만 비활성화 가능합니다.
- cmd(관리자 권한) → verifier 입력 → "사용자 지정 설정" 선택.
- 다음 옵션 활성화:
- 풀 태깅(Pool Tagging)
- I/O 검증(I/O Verification)
- 재부팅 후 충돌하는 드라이버 식별 → 해당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제거.
- 복구 방법: 안전 모드에서 verifier /reset 실행하여 검증기 비활성화.
(6) 페이징 파일 및 메모리 설정 최적화
- 가상 메모리 재설정:
- Win + R → sysdm.cpl → 고급 탭 → 성능 설정 → "고급" → 가상 메모리 변경.
- 자동 관리 체크 해제 → "시스템 관리 크기"로 설정 후 재부팅.
- BIOS/UEFI 설정 확인:
- 메모리 XMP/EXPO 프로필 비활성화 (과도한 오버클럭이 원인일 수 있음).
3. 하드웨어 점검
🔹 RAM 교체 테스트: 다른 RAM 슬롯 사용 또는 메모리 모듈 하나씩 제거해 보기.
🔹 CPU/GPU 과열 확인: HWMonitor로 80°C 이상인지 점검.
🔹 BIOS 업데이트: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 적용.
🔹 SSD/HDD 상태: CrystalDiskInfo로 S.M.A.R.T. 값 확인 (재할당된 섹터 수 주목).
4. 고급 해결책 (문제 지속 시)
(1) Windows 클린 부팅
- msconfig → 선택적 시작 활성화 → 모든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 비활성화 후 재부팅.
- 하나씩 활성화하며 문제 원인 찾기.
(2) Windows 재설치
- 커널 손상이 의심될 경우: 부팅 USB로 클린 설치 (데이터 백업 필수).
5. 예방 조치
✔ 드라이버 관리: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서 수동 설치 (자동 업데이트 도구 사용 금지).
✔ 메모리 안정성 테스트: 신규 RAM 설치 시 MemTest86으로 24시간 이상 검사.
✔ 정기 점검: chkdsk와 sfc /scannow를 월 1회 실행.
6. 참고 사항
- 이 오류는 대부분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메모리 관리 버그와 관련되므로, 덤프 파일 분석이 핵심입니다.
- 특정 프로그램 실행 시에만 발생한다면 호환성 모드(프로그램 우클릭 → 속성 → 호환성)로 실행해 보세요.
- 덤프 파일 예시 분석 결과: FAILURE_BUG_CHECK_CODE: d3 MODULE_NAME: ntoskrnl (Windows 커널) IMAGE_NAME: your_driver.sys
문제가 계속되면 덤프 파일과 함께 상세 증상을 알려주세요!
(예: "게임 실행 10분 후 발생", "특정 외장 장치 연결 시 오류"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광고(Advertising)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