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 LLM deepseek-v3-0324 답변사항입니다. 정보가 틀릴수 있으니 주의부탁드립니다.
블루스크린 오류 분석 및 해결: INVALID_AFFINITY_SET (0x00000003)
🔍 오류 개요
**INVALID_AFFINITY_SET (0x00000003)**는 Windows 커널이 프로세서 선호도(affinity) 설정에 실패했을 때 발생하는 드문 오류입니다. 이는 일반적으로:
- CPU 스케줄링 관련 문제
- 다중 코어/스레드 관리 오류
-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관련 충돌
에서 발생합니다. 서버 환경보다는 워크스테이션/개인용 PC에서 더 자주 나타납니다.
🛠 주요 원인 심층 분석
1️⃣ 하드웨어 관련 문제
- CPU 캐시/코어 결함 (특히 오버클럭킹 적용 시)
- NUMA(Non-Uniform Memory Access) 아키텍처 문제
- BIOS의 CPU 전원 관리 설정 불일치
2️⃣ 소프트웨어 충돌
- 가상화 소프트웨어 (VMware, Hyper-V 등)의 호환성 문제
- 게임/렌더링 프로그램의 잘못된 멀티스레드 할당
- 드라이버가 CPU 리소스를 비정상적으로 점유하는 경우
3️⃣ 시스템 설정 문제
- 작업 관리자에서 수동으로 설정한 CPU 선호도 충돌
- 그룹 정책이나 레지스트리에서 강제된 프로세서 할당
4️⃣ Windows 커널 손상
- win32kfull.sys 등 핵심 시스템 파일의 무결성 위반
🚀 단계별 해결 방법
▶ 1단계: 즉시 적용 가능한 조치
# PowerShell 관리자 권한 실행 후 (CPU 리셋)
Remove-ItemProperty -Path "HKLM: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Session Manager" -Name "PendingFileRenameOperations" -ErrorAction SilentlyContinue
▶ 2단계: CPU 관련 설정 최적화
-
BIOS/UEFI에서:
- Intel SpeedShift Technology 비활성화
- C-States 및 CPU Throttling 옵션 롤백
- 가상화 관련 기능(VT-x/d, AMD-V) 일시적 비활성화
-
Windows 설정:
:: CPU 선호도 자동화 스크립트 (관리자 CMD)
for /f "tokens=*" %a in ('wmic process get ProcessId') do @(if not "%a"=="ProcessId" wmic process where ProcessId="%a" CALL setpriority "32")
### ▶ 3단계: 고급 트러블슈팅
#### 🔧 **덤프 파일 분석 특화 기법**
```diff
! Windbg 명령어 핵심팁:
.symfix // 심볼 서버 자동 연결
!analyze -v // 자동 분석 후
~*kb 2000 // 모든 스레드의 콜스택 확인
!running -ti // CPU 할당 상태 진단
🖥 물리적 진단 절차
- CPU 재장착 (소켓 접촉 불량 확인)
- PerfMon으로 CPU 스케줄링 모니터링:
perfmon /res // 리소스 모니터 실행
▶ 4단계: 커널 수준 진단 도구 활용
- LatencyMon으로 드라이버 응답 지연 분석
- Intel Processor Diagnostic Tool 실행
- HWiNFO에서 CPU/캐시 오류 로그 확인
⚙ 예방 조치
-
Windows 10/11:
[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Session Manager] "CpuQuotaConfiguration"=dword:00000001 -
서버 환경에서는:
Set-ProcessAffinity -Name "sqlservr" -ProcessorMask 0x0F
⚠ 전문가용 핵심 참고 사항
이 오류는 특히 다음 환경에서 복합적으로 발생:
- Intel Hybrid 아키텍처(P-core/E-core) 시스템
- Windows 11의 스레드 디렉터 기능 활성화 시
- Docker/WSL2 등의 컨테이너 런타임 사용 중
💡 최후의 수단:
bcdedit /set disabledynamictick yes
(타이머 관련 커널 동작 변경, 극심한 성능 저하 발생 가능)
문제가 지속될 경우 CPU 마이크로코드 업데이트 또는
메인보드 VRM 펌웨어 점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광고(Advertising)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